nginx7 nginx cache 설정하기 nginx cache 설정하여 api 응답 속도 개선 및 api 서버 처리 부담 줄이기 캐시키는 매모리에 저장하고, 데이터는 hdd 에 저장된다. 캐시파일 저장디렉토리는 "/var/cache/nginx" 를 사용할 것이므로 미리 만들어 놓는다. 1. /etc/nginx/nginx.conf 파일에 proxy_cache_path 항목 추가# cache proxy_cache_path /var/cache/nginx levels=1:2 keys_zone=sketch_cache:10m max_size=1g inactive=60m use_temp_path=off * /var/cache/nginx : 캐시파일을 저장할 경로를 설정한다. * levels=1:2 : 위에서 설정한 저장 경로 아래에 2단계 디렉터리 계층 .. 2024. 11. 13. 프록시 통해서 전달되는 svg 파일도 gzip 압축하여 전송 설정 프록시 설정을 하면, 이를 통해서 전송되는 컨텐츠는 content-type 이 "application/octet-stream" 로 전송됨으로 인해 svg 파일이 압축되지 않고 전달된다.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. 1. /etc/nginx/nginx.conf 에 설정 추가http { ## # Basic Settings ## . . . ## # Gzip Settings ## gzip on; gzip_vary on; gzip_proxied any; gzip_comp_level 6; gzip_buffers 16 8k; gzip_http_version 1.1; gzip_types text/plain text/css application/j.. 2024. 6. 6. nginx 파일 업로드 최대 용량 제한 nginx 파일 업로드 최대 용량 제한 /etc/nginx/sites-available/default 파일 수정 server { . . . # 파일 업로드 최대 용량 제한 client_max_body_size 5m; . . . } 2024. 6. 6. nginx proxy 설정 /etc/nginx/sites-available/default 파일 수정server { . . . location ^~ /api { proxy_pass http://localhost:8080; proxy_http_version 1.1; proxy_set_header Host $host; proxy_set_header X-Real-IP $remote_addr; } location ^~ /service { proxy_pass http://localhost:8080; .. 2024. 6. 6. nginx gzip 설정 (웹사이트 컨텐츠 압축하여 전송) 웹서버에서 데이터 전송시 데이터를 압축해서 보내도록 하는 gzip 설정 부분이다. nginx 설정파일 을 열어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. vi /etc/nginx/nginx.conf http 항목 http { ## # Basic Settings ## . . . ## # Gzip Settings ## gzip on; gzip_vary on; gzip_proxied any; gzip_comp_level 6; gzip_buffers 16 8k; gzip_http_version 1.1; gzip_types text/plain text/css application/json application/javascript text/xml application/xml.. 2024. 6. 6. React를 위한 nginx 설치 및 세팅 nginx 설치apt-get install nginx 설정 파일 수정vi /etc/nginx/sites-enabled/default server { listen 8080 default_server; # 저장 후 스타트service nginx start . 2024. 6. 6. 무료 웹서버 인증서(let's encrypt) nginx 에 자동 설정하기 nginx용 무료 서버인증서 (let's encrypt) 도메인 추가하기 아래 3개 도메인을 추가할때 나의도메인.comwww.나의도메인.com api.나의도메인.comcertbot --nginx -d 나의도메인.com -d www.나의도메인.com -d api.나의도메인.com -> 기존 등록 후 수정할때도 위와 동일하게 설정한다. 등록된 도메인 삭제시에는certbot delete --cert-name 도메인주소. 2024. 6. 5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