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85

간단한 모바일 카드 이미지 만들기 새해 카드 만들기  https://www.sketchmon.com 1. 새로 만들기 팝업에서 빈문서 > 모바일 메세지 선택하고 더블클릭  2. 흰 캔버스에 배경 이미지를 넣어보자새로 열린 문서 우측 탭메뉴 중 [배경 검색]을 선택하고, 상단에 "배경" 이라고 입력한 뒤 검색버튼을 클릭하거나 키보드 엔터 입력.  3. 우측탭에 검색된 이미지 중 마음에 드는 이미지를 골라 캔버스로 드래그하거나 더블클릭하면 캔버스 배경이미지로 적용된다.  4. 제목을 넣어보자 (이미지로)우측탭에서 [이미지 검색] 클릭하고 상단에 "2025" 라고 입력하고 검색한 뒤 마음에 드는 제목이미지를 캔버스로 드래그 한다.삽입된 이미지는 사이즈를 적당히 조절하여 캔버스에 맞춘다.  5. 메세지를 입력하자상단 [글상자] 아이콘을 한번 클.. 2025. 2. 15.
[sketchmon canvas] 스케치몬 : 사각박스 및 글상자 그리기 https://www.sketchmon.com 1. 빈 문서를 생성하면 아래 화면이 열린다.  2. 박스 그리기 : 상단 [도형] 그리기 버튼을 클릭 후 아래 캔버스에 마우스로 드래그 한다. (1 ~ 2 번 순서)  3. 글상자 그리기 : 상단 [글상자] 그리기 버튼 클릭 후 아래 캔버스 특정 위치에 마우스로 클릭한다.    이후 내용을 입력한다. https://www.sketchmon.com 2025. 2. 13.
[sketchmon canvas] 스케치몬 접속 / 로그인 / 최초 화면 https://canvas.sketchmon.com 스케치몬 최초 접속 / 로그인 화면  로그인 후 최초 화면- 상단 [빈 문서] 중 하나를 더블클릭하면 해당 사이즈의 빈 문서가 열린다.- [빈 문서] 아래 디자인 템플릿들중 원하는 스타일을 더블클릭하면 해당 템플릿이 복사되어 새 문서가 열린다. 이후 수정하여 사용 2025. 2. 12.
특정필드값을 콤마로 붙여 조회하기 쿼리 select GROUP_CONCAT(email) AS user_emails from users; * 회원 디비내의 모든 회원의 메일주소를 콤마로 붙여 한번에 조회 2025. 2. 12.
scp 원격 파일 전송 현재서버에서 원격지 서버로 파일 전송scp -P 9999 /home/local/a.txt userid@remote_ip:/home/userid * 위 예제는 현재 서버의 /home/local/a.txt 파일을 원격지에(포트 9999) userid 계정으로 전송하기 (원격지 파일 저장 위치 : /home/userid* 실행시 원격지 계정의 비밀번호 입력 필요. 끝. 2025. 2. 12.
사용하려는 npm 패키지가 타입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을때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(index.d.ts) 타입스크립트 프로젝트 내에 텍스트를 둥글게 만들어주는 "circletype" 라는 패키지를 사용하려는데, 이 패키지는 타입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아 그냥 사용시 오류가 발생한다. 참고로 circletype 라는 패키지는 텍스트 문자열를 아래와 같이 둥글게 만들어 주는 패키지이다.관련 링크 : https://circletype.labwire.ca/  타입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는 패키지를 그대로 사용시 아래와 같이 오류가 발생한다. 위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려면 해당 패키지의 타입을 제대로 정의하고 사용해야 하겠지만, 임시로 일단 사용 가능하도록 하려면 아래와 같이 진행한다. 1. tsconfig.json 파일중 아래 (typeRoots) 항목을 추가 하고 저장* 아래 내용 중 typeRoots 설정은 원래 없.. 2025. 1. 15.
리눅스 : 주기적으로 현재시각 맞추기 (cron) 아래 코드를 크론에 등록하여 매일 정해진 시각에 인터넷 타임서버에 접속하여 시각 맞추기 crontab -e0 4 * * * /usr/sbin/rdate -s time.bora.net* 매일 오전 4시 정각에 time.bora.net 에 접속하여 시각 맞추기  끝. 2024. 12. 24.
nodejs 프로젝트 생성 : typescript, eslint, prettier 설정 ** nodejs 프로젝트 생성시 typescript 적용 1. nodejs 프로젝트 생성mkdir projectNamecd projectNamenpm init -ynpm i -D typescript ts-node nodemonnpx tsc --init 2. tsconfig.json 파일에 다음 내용 설정{..."target": "es6","module": "commonjs","outDir": "./dist","rootDir": "./src","strict": true,"moduleResolution": "node","esModuleInterop": true,...} 3. 프로젝트 루트에 dist와 src 폴더를 생성하고 src에 index.ts 파일 생성 4. packagejson에 다음 내용 설정{... 2024. 11. 13.
환경변수 설정파일 (.env) 설치 및 설정 / 사용 nodejs 서버 실행시 환경변수로 사용할 값들을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. 1. dotenv 설치 npm i dotenv 2. 설치 이후 프로젝트 루트에 .env 파일 생성#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필요한 값 추가SERVER_PORT = 3000API_BASE_PATH = /api 3.   .env 파일에 설정한 값을 사용할때는 아래와 같이 사용..import dotenv from 'dotenv';dotenv.config();const apiBasePath = process.env.API_BASE_PATH;const serverPort = process.env.SERVER_PORT;.. [주의].env파일에 중요한 서버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하는경우 소스저장소(git 등)에 업로드 되지 않도록 .g.. 2024. 11. 13.
ubuntu22.04에 apache2, nodejs, postgresql 설치 1. 저장소 업데이트 apt update && apt upgrade 2. 아파치 설치apt install apache2service apache2 start 3. postgresql 설치apt install postgresql postgresql-contribpsql --versionservice postgresql start 4. nodejs npm 설치apt updateapt install nodejs npmnode -v 5. node 서버를 띄울 계정으로 로그인 후 - nvm 설치curl -o-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nvm-sh/nvm/v0.39.1/install.sh | bashsource ~/.bashrc 6. node 최신 목록 조회nvm list-rem.. 2024. 11. 13.
ubuntu:22.04 도커이미지 내려받고, 컨테이너 올리기 (포트포워딩 + 공유디렉토리 설정) 1. 이미지 내려받기docker pull ubuntu:22.04 2. 내려받은 이미지로 컨테이너 올리기 docker run -it -p 8888:80 -p 5432:5432 -v /Users/{myid}/myproject/docker/www:/www --name Ubuntu2204 ubuntu:22.04  - 내려받은 이미지 ubuntu:22.04 를 이용해서 Ubuntu2204 라는 이름으로 컨테이너 생성  - 포트포워딩 : 8888->80(apache2), 5432->5432(postgreSQL)     : 내 컴퓨터에 8888번 포트로 접속하면 도커 80 번 포트로 연결     : 내 컴퓨터에 5432번 포트로 접속하면 도커 5432번 포트로 연결 - 공유디렉토리 마운트     : 내 컴퓨터의 경로.. 2024. 11. 13.
nginx cache 설정하기 nginx  cache 설정하여 api 응답 속도 개선 및 api 서버 처리 부담 줄이기 캐시키는 매모리에 저장하고, 데이터는 hdd 에 저장된다. 캐시파일 저장디렉토리는 "/var/cache/nginx" 를 사용할 것이므로 미리 만들어 놓는다. 1. /etc/nginx/nginx.conf 파일에 proxy_cache_path 항목 추가# cache proxy_cache_path /var/cache/nginx levels=1:2 keys_zone=sketch_cache:10m max_size=1g inactive=60m use_temp_path=off * /var/cache/nginx : 캐시파일을 저장할 경로를 설정한다. * levels=1:2 : 위에서 설정한 저장 경로 아래에 2단계 디렉터리 계층 .. 2024. 11. 13.